1. 사모예드 개요
사모예드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이 원산인 개의 일종이다. 대형견에 속하며 포메라니안과 재패니즈 스피츠의 운동이기도 한다.
사모예드는 사모예드족이 기르던 개로, 사역견으로써 사냥, 썰매 등 척박한 환경에서 각종 노동을 거드는 개였다. 우리 조상들이 품을 팔 듯, 이 사모예드도 일거리 있는 집안으로 서로 빌려주고 빌려오고를 수백, 수천 년 반복하여 개량되어왔으며, 알래스칸 말라뮤트 및 시베리안 허스키 역시 비슷한 궤를 달리고 있다.
1911년 아문센의 남극점 탐험 당시 썰매견으로 채용한 개로도 유명하며 아문센 탐험대를 위해 썰매를 끌고, 난로가 되어주기도 하였다. 남극점에 최초로 발을 딛고 선 공인된 생물로 인간과 함께 사모예드가 최초라고 볼 수 있다.
이후 아문센 탐험대의 사모예드 일부가 영국의 다른 탐험대에게 양도되어 귀국을 하면서 유럽 사회에 전파 되기 시작하였다. 당초 영국 땅을 밟은 사모예드는 대부분 흑색모와 갈색 모였는데, 인기가 많았던 백색 모의 사모예드만을 한정적으로 교배를 한 결과 현재에 와서 사모예드 하면 떠오르는 게 백색모 종이 되게 된 것이다. 그리고 1912년 영국에서 정식 견종으로 등록되었다.
2. 사모예드 외모
사모예드의 신장은 45~56cm, 체중은 16~30kg 정도 나가는 대형견에 속한다. 또한 커다랗고 풍성한 털이 있어 몸집이 실제 나가는 것보다 더 커 보인다. 원산지나 개체에 따라 주둥이가 넓고 전체적으로 북극곰과 유사한 외모를 한 경우가 있기도 하고, 날렵한 주둥이에 얼굴이 작고 늑대나 여우를 닮은 개체도 있어서 다른 견종으로 보이기도 한다. 대체로 암컷이 늑대스럽게 생긴 경향이 있다.
털 색은 여러 가지 있지만 백색 사모예드가 가장 유명하고 많이 알려져 있다. 가늘고 부드러운 털이 촘촘하게 이중으로 깔려 있어 털갈이 때 털이 아주 많이 휘날린다. 털이 하얗고 노는 것도 곱게 노는 편이 아니다 보니 자주 씻겨줘야 하는데, 털이 풍성한 탓에 털을 말리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애견 카페나 샵에서는 목욕 시간을 넉넉하게 주고 사모예드 뒤 타임 목욕 예약을 안 받기도 한다.
시베리안 허스키처럼 귀가 쫑긋하고, 사모예드 역시 시베리아가 원산지이다. 스피츠 계열의 종이다.
사모예드가 털이 복슬복슬하게 자라게 된 계기는 사모예드족들이 추운 북극권에서 끌어안고 자서 체온을 올리려는 목적으로 개량되어 이렇게 된 것이라는 의견이 압도적인 편이다. 낮에는 썰매를 끌게 하고 밤에는 여러 마리를 곁에 두고 자면 부드러우면서도 따뜻하게 보온이 되기에 개량이 되었다고 말을 하는 것이다. 옷을 만들 때 사모예드의 털로 천을 짜거나 안감을 대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사모예드는 늘 웃고 있는 상을 하고 있어 영어권에서 얻은 별칭 중 하나가 스마일링 새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새끼 시절 사모예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귀여움을 가지고 있다. 사모예드를 작게 개량한 포메라니안이나 재패니즈 스피츠 새끼들이 묘하게 치와와처럼 눈이 튀어나와 외모를 깎아 먹는 것에 반해, 사모예드는 검은 점 세 개가 박힌 솜뭉치 덩어리 같이 보여 최강의 귀여움을 자랑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러한 새끼 시절이 짧고, 성장하는 속도가 엄청 빠르기에 사모예드는 견종 중 성격을 제외하면 사육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하는 견종이기 때문에 새끼 때 외모만 보고 입양을 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3. 사모예드 특징
사모예드는 성격이 무난하고 친절한 데다가 진중한 느낌의 다른 사역견과는 달리 애교도 잘 부리는 편에 속한다. 충성심도 없는 편이 아니어서 이 정도 크기의 개 중에서는 선호도가 높은데, 공격성이 너무 없어서 집을 지키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보통 강아지 시절 때부터 성체가 될 때까지도 큰 변함없이 발랄하고 귀여운 외모를 가진 데다 높은 지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말도 잘 듣는 편이고 사교성도 높은 편이라 개들 사이의 대견 관계도 좋은 편이고 아이와도 곧 잘 놀아주어, 힘이 센 대형견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격 덕분에 키우는데 부담이 적어서 이렇게만 보면 사람들이 꿈꾸는 완전체 견종이라고도 볼 수가 있는데 이에 비해 수요는 적은 편이다.
그 이유는 우선적으로 체중 20kg가 넘어가는 대형견인 데다가, 털 빠짐이 생각 이상으로 심하게 빠지는 편이기에 관리가 힘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얀색 털을 가진 사모예드는 조금만 더러워져도 바로 티가 나는 데다가 곱슬 과 직모가 혼재된 털이 이중모로 나 있어서 속털이 엉키기도 일쑤에, 방수까지 잘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한번 더러워지면 그것을 씻기는데 고생을 엄청 하는데, 이 점만 해도 털 관리하는 데 있어 힘든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견종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거기에 첩첩산중으로 나이가 들수록 털이 적어지는 다른 개들에 비하여 사모예드는 털 양이 줄어든다는 느낌이 들지도 않고 오히려 털이 더 붕 뜨는 편이다. 털 관리를 제대로 못할 경우 곰팡이에 피부병까지 올 수가 있는데 털이 엄청 많은 탓에 낫는 속도도 느린 편이다.
또한 한국의 기후는 겨울에는 사모예드에게 천국과도 같은 환경이지만, 여름이 되면 사모예드에게는 불지옥 그 자체가 되기 때문에, 에어컨을 빵빵하게 틀어 두고, 개 전용 대리석 및 쿨팩 등을 장만해줘야 그나마 버틸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하지 않을 경우 열사병에 걸릴 수가 있고, 활동성이 높은 사모예드는 산책을 시켜주기도 해야 하는데 여름 날씨에 산책을 시키면 금방 지치기도 해서 놀고는 싶은데 더위가 심하여 놀지 못하는 가여운 상황이 나오기도 한다.
애초에 썰매견 출신인 사모예드는 운동량이 작정했을 경우 하루 종일 뛰어다녀도 지치지 않는 에너자이저 같은 지구력을 가졌고, 썰매견 출신답게 힘도 보통 센 편이 아니다. 그리고 사모예드는 수시로 땅굴을 파는 습성이 있는데 운동량을 충족시켜주지 못했을 경우에 대형견 특유의 집념과 끈기로 집 바닥을 파려고 하는 대참사를 겪을 수도 있다. 한 번 땅굴을 파게 되면 굉장히 깊고 복잡하게 파기 때문에 간혹 가다 자기가 판 땅굴에 빠지는 경우도 있어 견주의 주의가 필요하다.
대형견이면서도 실내에서 인간과 함께 생활하게 진화한 개로, 인간에 대한 의존성이 굉장히 높다. 집 밖에서 인간과 따로 생활하는 실외견으로 취급하게 되는 경우 그 자체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실외에서 키우다 집 밖으로 나가버리게 될 경우 귀소본능이 희박하기에 그대로 실종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목줄을 걸어 고정시켜두는 행동도 엄청난 스트레스가 될 수 있기에 실외에서 키우는데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사전 훈련과 충분한 환경이 수반되어야 하는 건 필수다. 개들 중에서도 호기심이 강한 편이라 사람 기준으로 '말썽'을 많이 피우는 편이니 견주로서 애정을 가지고 올바른 훈육을 통해 건전한 예의 및 사교성을 길러 주는 것이 좋다.
암컷과 달리 수컷의 경우는 중성화하지 않을 경우, 성장하면서 자신의 물건과 공동체라고 여기는 자존심에 대하여 소유욕과 지키려는 행동을 자주 하게 되는데 중성화를 시키지 않는다고 하면 이런 부분을 잘 교육시켜둬야 한다.
'반려동물 > 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추 (Shih Tzu), 사자개라고도 불리는 중국의 소형견 (0) | 2022.06.02 |
---|---|
시바견 (Shiba Inu), 일본의 중소형견 (0) | 2022.06.01 |
닥스훈트 (Dachshund), 독일의 중형견 (0) | 2022.05.31 |
퍼그 (Pug), 중국에서 나온 소형견 (0) | 2022.05.30 |
비숑 프리제(Bichon frisé), 프랑스와 벨기에의 소형견 (0) | 2022.05.30 |
댓글